청년도약계좌 조건들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
대한민국 현 정부는 청년 정책을 주요 국정과제에 포함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.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‘청년도약계좌’라는 정책을 새로이 선보였는데요. 이를 통해 청년들이 유의미한 목돈을 마련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.
아래 내용에서는 청년도약계좌 지원 조건 및 혜택, 그리고 세부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1. 청년도약계좌 지원 조건
청년도약계좌 지원 조건은 크게 소득과 연령 2가지를 봅니다. 이 중 하나만 충족하면 안되고, 모든 청년도약계좌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. 또한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청년도약계좌 조건 유지심사를 하여 기여금 지급 여부 및 규모를 조정합니다.
[신청자격]
1) 나이 : 만 19~34세 청년 (병역복무기간 6년까지 인정)
2) 개인소득 : 총 급여액 7,500만원 이하 (종합소득 총 6,300만원 이하)
3) 가구소득: 가구원 중위소득 180% 이하 (2022년 1인 기준 월 소득 3,500,661원 이하)
4) 제외 대상
– 소득이 없거나 국세청을 통해 소득을 증명할 수 없는 자
– 과거 3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
– 청년희망적금 가입자 (적금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가입 가능)
2. 청년도약계좌 혜택
청년도약계좌란 월 최대 납입 70만원 한도로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. 정부 지원금은 소득과 납입금에 따라 최대 월 24,000을 받을 수 있으며, 비과세 혜택은 15.4%입니다. 5년 동안 청년도약계좌에 납입하면 5,000만원 안팎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.
또한 3년 고정금리 후 2년 변동금리가 적용되며, 실제 금리는 추후에 결정될 예정입니다. 특별 중도해지 요건에 해당되면 정부 혜택을 적용 받을 수 있지만, 해당되지 않으면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에서 제외됩니다.
아래에서 청년도약계좌 특별 중도해지 요건을 살펴보겠습니다.
- 가입자의 퇴직
- 해외 이주
- 사망
- 생애최초 주택구입
- 천재 지변
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사람의 개인 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총 급여가 4,800만원 이하라면 월 70만원 납입한 한도보다 낮은 금액(월 40~60만원)을 납입해도 정부 지원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본인 납입액이 각 소득의 지원금 지급 한도보다 작으면 본인 납입액, 지원금 지급 한도보다 크면 지급 한도액에 각 소득별 매칭 비율을 곱하여 지원금 한도를 계산합니다.
자세한 기여금 지원 기준은 아래 사진으로 참고하시면 되십니다.
※ 조건에 따른 정부 기여금이 다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 (출처=금융위원회)
3.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
- 6월 : 6/15(목) ~ 6/23(금)
- 7월 : 7/10(월) ~7/21(금)
※ 월별로 접수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으니 확인 필요
지금까지 청년도약계좌 조건 그리고 세부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
본인에게 맞는 조건인지 확인해보시고 해당내용에 부합하는 분들은 적극 활용하시어 나만의 목돈을 만들어보시길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